당숙 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당숙 우는 주 무왕과 읍강 사이에서 태어난 인물로, 주 성왕이 오동나무 잎으로 장난 삼아 그를 당나라에 봉하면서 당나라의 제후가 되었다. 주 성왕이 동생과 오동잎으로 장난친 일화가 있으며, 섭정 주공의 조언과 태사 윤일의 간언으로 인해 당나라에 봉해졌다. 그는 다른 뿌리에서 같은 이삭이 나온 벼를 성왕에게 바치기도 했으며, 그의 아들 진후 섭이 진(晉)으로 국명을 바꾸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나라의 왕족 - 채숙 도
주 문왕과 태사의 아들이자 주 무왕의 동복 형제인 채숙도는 무왕에 의해 채에 봉해졌으나, 주공 단의 섭정에 불만을 품고 삼감의 난을 일으킨 후 유배되어 사망했다. - 주나라의 왕족 - 담계 재
주나라 문왕의 아들이자 무왕의 동복 형인 담계 재는 주나라 초기에 심에 봉해졌고, 삼감의 난 평정 후 사공이 되었으며, 그의 후손들이 심씨를 칭하게 되었다. - 기원전 11세기 중국의 군주 - 주 무왕
주 무왕은 서주를 건국하고 상나라를 멸망시켜 천자가 된 왕으로, 강태공, 주공단 등 인재를 등용하고 은나라 유민을 포용하는 정책을 펼쳐 주나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사후 성왕으로 추앙받고 도교에서는 영보천존의 화신으로 여겨진다. - 기원전 11세기 중국의 군주 - 주 성왕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주공 단의 섭정을 받은 주 성왕은 삼감의 난을 진압하고 낙양을 건설하는 등 국가의 기틀을 다졌으며, 오랑캐 부족을 정벌하여 국경을 안정시키고 아들 강왕과 함께 태평성대를 이루었다. - 기원전 11세기 중국 사람 - 주 무왕
주 무왕은 서주를 건국하고 상나라를 멸망시켜 천자가 된 왕으로, 강태공, 주공단 등 인재를 등용하고 은나라 유민을 포용하는 정책을 펼쳐 주나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사후 성왕으로 추앙받고 도교에서는 영보천존의 화신으로 여겨진다. - 기원전 11세기 중국 사람 - 주 성왕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주공 단의 섭정을 받은 주 성왕은 삼감의 난을 진압하고 낙양을 건설하는 등 국가의 기틀을 다졌으며, 오랑캐 부족을 정벌하여 국경을 안정시키고 아들 강왕과 함께 태평성대를 이루었다.
당숙 우 |
---|
2. 생애
무왕이 죽고 형 성왕이 즉위하자 당나라에서 내란이 일어났고, 주공이 당나라를 쳐서 멸했다. 당숙우는 특이한 벼를 얻어 성왕에게 바쳤고, 성왕은 이를 주공에게 주었다.[6]
사기에 따르면, 어느 날 성왕은 동생 위(虞) 왕자와 함께 벽오동 잎으로 장난을 치며 제후로 봉하겠다고 말했다. 위 왕자는 기뻐하며 주공에게 이 사실을 전했다.
2. 1. 출생과 이름
주나라 무왕과 읍강 사이에서 태어났다. 읍강이 그를 임신했을 때, 꿈에 천제가 나타나 "나는 그 아이를 우(虞)라고 이름 짓도록 명한다. 그 아이에게 당(唐)나라 땅을 주고, 삼성(参星)에 자손을 양육하게 하라"고 말했다. 아이가 태어나자, 손에 '우(虞)'자 모양의 손금(掌紋)이 있었다. 이 때문에 우(虞)라고 이름 지었다.[4] 무왕이 죽고 성왕이 즉위하자, 당나라에서 반란이 일어나 주공 단이 당나라를 토벌했다.어느 날 성왕이 숙우(叔虞)와 함께 놀다가 오동나무 잎을 깎아 규(珪)를 만들어 숙우에게 주며 "너를 여기에 봉하겠다"고 말했다. 태사(太史) 윤일(尹佚)이 날짜를 정해 숙우를 국군으로 세울 것을 아뢰었다. 성왕이 "내가 숙우에게 규를 준 것은 농담이었다"고 말하자, 윤일은 "천자에게 농담은 없습니다. 천자의 말씀은 사관이 기록하고, 예관이 실행하며, 악관이 이를 노래합니다"라고 대답했다. 이에 성왕은 숙우를 당나라에 봉했다. 당나라는 황하와 분수 동쪽에 있는 백 리 사방의 나라였다. 이 때문에 당숙우(唐叔虞)라고 불렸다. 당숙우가 죽자, 그의 아들 섭(燮)이 뒤를 이었다.[3]
2. 2. 당나라 봉건과 오동잎 일화
성왕은 주공의 섭정 기간 동안 동생 숙우와 함께 놀면서 오동나무 잎을 규(珪) 삼아 장난으로 숙우에게 봉건하는 흉내를 내었다. 그러나 사일(史佚)은 천자에게는 농담이 있을 수 없다며 숙우를 책봉할 것을 청하였고, 결국 숙우는 실제로 옛 당나라 땅에 봉해졌다.[5][3] 이 지역은 오늘날 산시성이청현 서쪽에 위치해 있었다.숙우는 다른 뿌리에서 같은 이삭이 나온 특이한 벼를 얻어 성왕에게 바쳤고, 성왕은 이를 주공에게 주도록 명했다.[6] 숙우 사후, 그의 아들 섭(燮)이 뒤를 이었다.[3]
2. 3. 통치와 업적
주나라 무왕이 사망한 후, 그의 어린 아들 송(誦)이 왕위에 올라 주 성왕이 되었다. 주 성왕은 나이가 어리고 경험이 부족하여 숙부인 주공이 섭정으로 임명되어 정치를 맡았다.[1] 주 성왕 즉위 초, 당(唐) 지역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주공이 이를 진압했다.[1]사기에 따르면, 주 성왕이 동생 위(虞) 왕자와 벽오동 잎으로 장난을 치며 제후로 봉하겠다고 말하자, 주공은 왕의 말은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고 조언했다.[1] 주 성왕은 주공의 말을 받아들여 동생에게 최근 정복한 당(唐) 땅(오늘날 산시성 이청현 서쪽)을 주었다.[1]
숙우의 아들 섭은 수도를 강(江)에서 진강(晉河) 근처로 옮기고 국명을 진(晉)으로 바꾸었다.[1]
3. 평가
(요약과 참조할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고, 이전 단계에서 결과물이 없었으므로, '평가'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4. 사당
진사는 타이위안에 위치한 서여를 기리는 사당이다.[2] 중화인민공화국의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이다.
참조
[1]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Zhonghua Book Company
[2]
서적
晋祠文物透视: 文化的烙印
People's Press of Shanxi
[3]
서적
史記
[4]
서적
春秋左氏伝
[5]
서적
사기 권39 진세가제9
http://zh.wikisource[...]
[6]
서적
노주공세가제3
http://zh.wikisour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